주후2023년5월28일 주일
너희가 주 안에서와 그 힘의 능력으로 강건하여지고 [엡]6:10
미국 초등학생 가운데 최소한 10%는 독서 장애를 겪고 있다. 독서 장애는 제대로 읽거나 철자를 익히거나 다른 사람들이 판독할 수 있도록 글을 쓰지 못하는 지각 장애이다. 다른 문화권 국가에서도 이 수치는 비교적 비슷할 것이다. 미국의 죄수 중에는 글자나 숫자를 혼동하는 이 장애(때로 이 장애는 유전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를 앓는 사람이 80%나 된다고 한다. 천정을 바닥이라고 하기도 하고, '적대적'이라는 단어를 '우호적'이로는 단어로 착각하기도 한다. 'A'라는 글자를 'D'로 비꾸거나 '1-2-3'같은 숫자 조합을 '2-1-3'으로 변형하기도 한다.
이렇게 학습 부진이 계속되면 분노와 좌절감이 발생하고, 그것은 반사회적인 비행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미국 대통령을 지낸 넬슨 록펠러는 자신도 그런 장애를 평생 앓았다고 고백한 적이 있다. "나는 무엇이든 거꾸로 읽는 습관이 있었지요. 숫자를 봐도 뒤에서부터 읽고요. 그 숫자에 관해서 생각할 때도 거꾸로 한답니다. 사실 그게 제일 큰 문제지요." 그는 평생 철자법을 완전히 익히지 못했지만, 그것에 대처하는 법을 배워 장애를 극복했다. 에디슨도 난독 증세가 있었지만 장애를 딛고 위대한 발명가가 되었다. 패튼 장군은 열두 살이 되도록 글을 읽지 못했다. 윌슨 대통령도 독서 장애를 앓았다고 알려져 있다. 세계적으로 존경받는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도 마찬가지이다.
아이들에게 반드시 공급해주어야 할 아주 중요한 약이 두 가지 있다. M과 R이라는 비타민인데, 요즈음에는 그 영양소가 결핍된 아이들이 많이 있는것 같다. M은 도덕성을 말하고 R은 신앙을 일컫는다. 아이들은 인생길에서 낙오하지 않고 무언가 유익한 일을 이루어야 할 도덕적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는 사실을 배워야 한다. 그 다음으로 배워야 할 점은, 장애와 여러 가지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분이 계시다는 사실이다.
당신도 장애를 극복할 수 있다.
/저 높은 곳을 향하여-순교자의 소리 리처드 웜브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