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기

목소리

오예1 2023. 11. 26. 06:43
728x90
반응형

주후2023년 11월 26일 주일

그때에 내가 조용한 중에 한 목소리를 들으니(욥4:16)

한 학생이 위대한 철학자를 찾아가 물었다. "선생님, 하나님에 관하여 가르쳐 주십시오."
철학자는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
학생은 다시 물었다. "선생님, 하나님에 관하여 가르쳐 주십시오." 그러나 이번에도 철학자는 입을 열지 않았다.
학생이 세 번째로 똑같은 질문을 반복하자 철학자는 입을 열어 대답했다. "네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침묵했을 때 나는 이미 하나님에 관하여 가르쳐 주었다." 하나님을 말로 표현하려는 시도는 고기잡는 그물로 파도를 잡으려고 애쓰는 것만큼 어리석은 짓이다. 말은 사람들이 사냥을 하거나 생산을 하거나 개인적 관계를 맺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우리는 말 없이 살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주인이나 아버지나 사랑'이라는 인간적인 언어로 하나님을 표현할 때 그것들이 하나님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주인 중에는 종을 착취하는 사람도 있다. 루터는 하나님을 아버지라도 불러야 하는 주기도문을 외울 때마다 몹시 곤란함을 느꼈는데, 그것은 그의 친아버지가 몹시 잔인한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사랑이라는 말은 또 어떤가? 나는 사과 파이를 매우 사랑하고 강아지도 매우 사랑한다. 그러나 그런 사랑이 하나님을 상징하는 감정이 될 수는 없지 않은가?
리빙스턴은 하나님이 사랑이라는 진리를 야만인들에게 설명하고자 했으나, 그들의 언어에 '사랑'이라는 낱말이 없었기 때문에 난관을 겪었다. 마침내 그는 야만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것이 훈제된 사람의 팔에서 나온 고기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들은 그것을 '언보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은 최고의 언보이이다"라는 유명한 설교를 했다. 그는 그 설교 때문에 많은 사람에게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그가 한 일은 사도 요한의 가르침을 따라 하나님을 '사랑'이라고 부른 것뿐이었다.
사랑은 인격적인 감정이다. 하나님이 하나의 감정이라고 믿는 사람이 있는가? 요한이 사랑을 하나님에게 적용한 이유는 그것이 인간에게 알려진 것들 가운데 최고의 가치를 지녔기 때문이었다. 리빙스톤이 하나님을 '언보이'라고 칭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였다.
하나님이 궁극적으로 어떤 분이신가 하는 것은 완전한 고요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깨달음이다.
/저 높은 곳을 향하여 - 순교자의 소리 리처드 웜브란트

반응형

'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는 자들  (8) 2023.11.28
아들  (5) 2023.11.27
이름  (1) 2023.11.25
기도  (60) 2023.11.24
사랑이 오는 길목 #좋은생각2023년11월호  (89)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