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기

구제

오예1 2023. 11. 29. 06:46
728x90
반응형

주후2023년 11월 29일 수요일

너희 소유를 팔아 구제하여(눅12:33)

예수님 비유에 나오는 부자 청년은 고운 세마포 옷을 입고 있었는데, 그것은 요한계시록 19장에 의하면 성도들의 의로운 행위를 상징한다. 그 부자 청년은 외적으로 의인의 모습을 하고 있었으나, 가난한 사람에게 냉담했기 때문에 예수님께 의롭다고 인정받지 못했다.
산업 국가에 사는 모든 기독교인도 가난한 사람에게 소홀하기 쉽다. 개발도상국은 상품을 수출해도 최종 판매 가격의 15%밖에 수익을 얻지 못한다. 바나나를 수출하는 국가는 1달러당 11센트밖에 이익을 얻지 못한다. 옛날 식민지 시대에 가난한 나라가 천연자원과 열대 식량을 헐값으로 부유한 산업 국가에 공급하던 방식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1963년에서 1971년 사이, 스리랑카는 영국에 차를 수출해서 4,500만 달러를 손해 보았다. 이유는 영국이 차 수입 가격을 내렸기 때문이었다. 그 금액은 영국이 스리랑카에 원조한 액수보다 두 배나 많았다.
개발도상국은 사회적 불공평도 심각하다. 이런 국가들에서는 가장 부유한 국민 10%가 총국민소득 40%을 차지하고, 가난한 국민 40%가 총국민소득 12%를 나누어 갖는다.
기독교인은 소득이 얼마이든지 소비 생활을 절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인이 취해야 할 태도는 자기 나라 국민 평균 수입보다 더 많은 돈을 자신이나 가족들을 위해서 쓰지 않는 것이다. 그것을 넘는 소비 행위는 사치일 수밖에 없다.
암브로시우스는 이런 글을 남겼다. "당신이 도와줄 힘이 있는데도 이웃이 굶고 있다면 당신은 도둑이다. 그러다가 그 이웃이 죽기라도 하면 당신은 살인자가 되는 것이다."
/저 높은 곳을 향하여 - 순교자의 소리 리처드 웜브란트

반응형